![[글로벌 복지 트렌드] 직원 몰입도 100%! 효과 만점 세계 이색 복지 모음 2탄ㅣ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 화웨이](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Apt4U51WzkXjRAByEpudyi8tS8.jpg?width=8192&height=4049)
Content
Content
Content
[글로벌 복지 트렌드] 직원 몰입도 100%! 효과 만점 세계 이색 복지 모음 2탄
[글로벌 복지 트렌드] 직원 몰입도 100%! 효과 만점 세계 이색 복지 모음 2탄
[글로벌 복지 트렌드] 직원 몰입도 100%! 효과 만점 세계 이색 복지 모음 2탄
🚀 제대로 설계된 복지 제도가 직원과 기업에 가져다주는 효과
단순히 보기 좋은 '이색 복지'의 시대는 끝났어요.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경영 철학과 부합하는 복지 설계를 통해 직원과 기업이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실제 참여율을 높여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어요.
지난 편에서 눈길을 끄는 해외 ‘이색’ 복지 사례를 다루었다면, 이번 편에서는 색다르면서도 직원들의 참여, 몰입 그리고 기업의 성장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한 복지 사례들을 이야기해볼게요.
그럼 함께 살펴보실까요?
📌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열심히 일한 만큼 사회로! ESG 경영의 이상향,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을 주는 비상장 기업? 화웨이 ‘직원 가상 주식 제도’
휴가를 내 마음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무제한 휴가제’
열심히 일한 만큼 사회로! ESG 경영의 이상향,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

사진 출처: 세일즈포스(Salesforce)

사진 출처: 세일즈포스 코리아(Salesforce Korea)
세계적인 CRM SaaS 솔루션 ‘세일즈포스(Salesforce)’, 단순히 복지 제공을 넘어 '사회 공헌'이라는 기업의 핵심 가치를 복지 제도에 제대로 녹여낸 기업이에요.
평소 기부를 생활화하는 세일즈포스 ‘베니오프 회장’은 기업을 설립하자마자 ‘1-1-1’의 자선 모델을 만들었는데요. 이 모델은 회사의 자본, 제품, 직원들의 업무 시간의 1%를 전 세계 지역 사회에 환원하는 제도를 의미해요.
베니오프 회장은 기업의 성공에 있어 선한 행위와 기업의 가치가 세상을 바꾸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된다고 강조해왔는데요. 올해 10월에도 베니오프 어린이 병원에 1억 3,900만 달러를 기부하는 등 꾸준히 사회 공헌에 이바지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에는 그들의 신조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을까요? 경영 철학이 잘 반영된 복지 제도로는 ‘유급 봉사 활동 시간’과 ‘기부금 매칭’이 있어요.
‘유급 봉사 활동 시간(Paid Volunteer Time Off, VTO)’은 직원들에게 연간 7일의 유급 휴가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 시간을 지역 사회를 위한 봉사 활동에 사용하도록 적극 장려하는 제도예요. ‘기부금 매칭 (Matching Donation)’은 직원이 비영리 단체에 돈을 기부하면, 회사에서 그와 동일한 금액을 추가로 기부하는 제도인데요.
이렇듯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는 베니오프 회장이 얼마나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잘 보여줘요. 이 복지들은 직원들의 근무 활동이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조직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장치로 작동하고 있어요.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을 주는 비상장 기업? 화웨이 ‘직원 가상 주식 제도’


사진 출처: 화웨이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는 상하이나 선전, 홍콩 등 어떤 증권거래소에도 상장하지 않은 비상장 기업이에요. 하지만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Virtual share)’을 판매하는 매우 독특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죠.
직원들은 회사가 인정하는 업무 성과를 달성하면 가상 주식을 획득할 수 있고, 근속 연수가 5년이 지나면 지난 5년 간 받은 연봉의 최대 25% 금액에 해당하는 가상 주식을 구매할 수 있어요.
물론 실제 증권거래소에서 거래하는 주식이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 대한 대표권, 소유권, 표결권은 없으며 직원들간의 내부 거래도 불가능해요. 하지만 이 가상 주식은 매년 회사의 성장률에 맞춰 가치가 오르며, 직원들은 자신이 보유한 수량만큼 정기적인 '배당금(인센티브)'을 받게 된답니다. 퇴사 시에는 소유한 지분을 모두 회사에 되팔아야 하고요.
이 제도는 미국의 계속된 제재로 인한 인재 유출을 막고,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전략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요. 주식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의 운명을 함께하는 '주주'로 만들면서, 극도의 헌신과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죠. 또한 경쟁사로의 이직을 막고, 인재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답니다.
휴가를 내 마음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무제한 휴가제’

사진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

사진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2023년 1월, 세계적인 IT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내 정규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무제한 유급 휴가(Unlimited PTO)’라는 파격적인 복지 제도를 도입해 큰 화제를 모았어요. 말 그대로 상사의 별도 결재 없이, 원하는 만큼 자율적으로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제도인데요.
무제한 유급 휴가는 해외에서는 이미 많은 기업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 제도예요.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도 이 제도를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꾸준히 유지해 오고 있어요!
임직원을 향한 신뢰와 자율성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제도인 만큼, 과하게 남용되거나 조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실제로 남용 사례는 드물며, 오히려 직원들의 책임감과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제도를 통해 유연성을 중요시하는 젊은 인재를 끌어들이고 기존 핵심 인력의 이탈을 막는 강력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답니다.
기업의 복지 제도들은 고생한 직원들에게 하사하는 ‘시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이번 사례를 통해 전 세계 굴지의 기업들은 복지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로 바라보면서, 기업과 직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복지를 설계하고 운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직원이 조직에 가장 빠르게 몰입하게 만들 수 있는 수단, 복지! 우리 기업은 어떤 제도를 통해 직원의 열정과 몰입을 최대치로 끌어낼 수 있을까요?
우리 기업에 꼭 필요한 복지 설계, 위펀의 100여 가지 서비스로 그 시작을 함께 해보세요!

Editor: 위펀 브랜드마케팅 하수빈, 김민정
🚀 제대로 설계된 복지 제도가 직원과 기업에 가져다주는 효과
단순히 보기 좋은 '이색 복지'의 시대는 끝났어요.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경영 철학과 부합하는 복지 설계를 통해 직원과 기업이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실제 참여율을 높여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어요.
지난 편에서 눈길을 끄는 해외 ‘이색’ 복지 사례를 다루었다면, 이번 편에서는 색다르면서도 직원들의 참여, 몰입 그리고 기업의 성장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한 복지 사례들을 이야기해볼게요.
그럼 함께 살펴보실까요?
📌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열심히 일한 만큼 사회로! ESG 경영의 이상향,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을 주는 비상장 기업? 화웨이 ‘직원 가상 주식 제도’
휴가를 내 마음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무제한 휴가제’
열심히 일한 만큼 사회로! ESG 경영의 이상향,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

사진 출처: 세일즈포스(Salesforce)

사진 출처: 세일즈포스 코리아(Salesforce Korea)
세계적인 CRM SaaS 솔루션 ‘세일즈포스(Salesforce)’, 단순히 복지 제공을 넘어 '사회 공헌'이라는 기업의 핵심 가치를 복지 제도에 제대로 녹여낸 기업이에요.
평소 기부를 생활화하는 세일즈포스 ‘베니오프 회장’은 기업을 설립하자마자 ‘1-1-1’의 자선 모델을 만들었는데요. 이 모델은 회사의 자본, 제품, 직원들의 업무 시간의 1%를 전 세계 지역 사회에 환원하는 제도를 의미해요.
베니오프 회장은 기업의 성공에 있어 선한 행위와 기업의 가치가 세상을 바꾸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된다고 강조해왔는데요. 올해 10월에도 베니오프 어린이 병원에 1억 3,900만 달러를 기부하는 등 꾸준히 사회 공헌에 이바지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에는 그들의 신조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을까요? 경영 철학이 잘 반영된 복지 제도로는 ‘유급 봉사 활동 시간’과 ‘기부금 매칭’이 있어요.
‘유급 봉사 활동 시간(Paid Volunteer Time Off, VTO)’은 직원들에게 연간 7일의 유급 휴가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 시간을 지역 사회를 위한 봉사 활동에 사용하도록 적극 장려하는 제도예요. ‘기부금 매칭 (Matching Donation)’은 직원이 비영리 단체에 돈을 기부하면, 회사에서 그와 동일한 금액을 추가로 기부하는 제도인데요.
이렇듯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는 베니오프 회장이 얼마나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잘 보여줘요. 이 복지들은 직원들의 근무 활동이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조직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장치로 작동하고 있어요.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을 주는 비상장 기업? 화웨이 ‘직원 가상 주식 제도’


사진 출처: 화웨이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는 상하이나 선전, 홍콩 등 어떤 증권거래소에도 상장하지 않은 비상장 기업이에요. 하지만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Virtual share)’을 판매하는 매우 독특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죠.
직원들은 회사가 인정하는 업무 성과를 달성하면 가상 주식을 획득할 수 있고, 근속 연수가 5년이 지나면 지난 5년 간 받은 연봉의 최대 25% 금액에 해당하는 가상 주식을 구매할 수 있어요.
물론 실제 증권거래소에서 거래하는 주식이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 대한 대표권, 소유권, 표결권은 없으며 직원들간의 내부 거래도 불가능해요. 하지만 이 가상 주식은 매년 회사의 성장률에 맞춰 가치가 오르며, 직원들은 자신이 보유한 수량만큼 정기적인 '배당금(인센티브)'을 받게 된답니다. 퇴사 시에는 소유한 지분을 모두 회사에 되팔아야 하고요.
이 제도는 미국의 계속된 제재로 인한 인재 유출을 막고,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전략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요. 주식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의 운명을 함께하는 '주주'로 만들면서, 극도의 헌신과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죠. 또한 경쟁사로의 이직을 막고, 인재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답니다.
휴가를 내 마음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무제한 휴가제’

사진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

사진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2023년 1월, 세계적인 IT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내 정규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무제한 유급 휴가(Unlimited PTO)’라는 파격적인 복지 제도를 도입해 큰 화제를 모았어요. 말 그대로 상사의 별도 결재 없이, 원하는 만큼 자율적으로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제도인데요.
무제한 유급 휴가는 해외에서는 이미 많은 기업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 제도예요.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도 이 제도를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꾸준히 유지해 오고 있어요!
임직원을 향한 신뢰와 자율성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제도인 만큼, 과하게 남용되거나 조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실제로 남용 사례는 드물며, 오히려 직원들의 책임감과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제도를 통해 유연성을 중요시하는 젊은 인재를 끌어들이고 기존 핵심 인력의 이탈을 막는 강력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답니다.
기업의 복지 제도들은 고생한 직원들에게 하사하는 ‘시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이번 사례를 통해 전 세계 굴지의 기업들은 복지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로 바라보면서, 기업과 직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복지를 설계하고 운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직원이 조직에 가장 빠르게 몰입하게 만들 수 있는 수단, 복지! 우리 기업은 어떤 제도를 통해 직원의 열정과 몰입을 최대치로 끌어낼 수 있을까요?
우리 기업에 꼭 필요한 복지 설계, 위펀의 100여 가지 서비스로 그 시작을 함께 해보세요!

Editor: 위펀 브랜드마케팅 하수빈, 김민정
🚀 제대로 설계된 복지 제도가 직원과 기업에 가져다주는 효과
단순히 보기 좋은 '이색 복지'의 시대는 끝났어요.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경영 철학과 부합하는 복지 설계를 통해 직원과 기업이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실제 참여율을 높여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어요.
지난 편에서 눈길을 끄는 해외 ‘이색’ 복지 사례를 다루었다면, 이번 편에서는 색다르면서도 직원들의 참여, 몰입 그리고 기업의 성장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한 복지 사례들을 이야기해볼게요.
그럼 함께 살펴보실까요?
📌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열심히 일한 만큼 사회로! ESG 경영의 이상향,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을 주는 비상장 기업? 화웨이 ‘직원 가상 주식 제도’
휴가를 내 마음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무제한 휴가제’
열심히 일한 만큼 사회로! ESG 경영의 이상향,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

사진 출처: 세일즈포스(Salesforce)

사진 출처: 세일즈포스 코리아(Salesforce Korea)
세계적인 CRM SaaS 솔루션 ‘세일즈포스(Salesforce)’, 단순히 복지 제공을 넘어 '사회 공헌'이라는 기업의 핵심 가치를 복지 제도에 제대로 녹여낸 기업이에요.
평소 기부를 생활화하는 세일즈포스 ‘베니오프 회장’은 기업을 설립하자마자 ‘1-1-1’의 자선 모델을 만들었는데요. 이 모델은 회사의 자본, 제품, 직원들의 업무 시간의 1%를 전 세계 지역 사회에 환원하는 제도를 의미해요.
베니오프 회장은 기업의 성공에 있어 선한 행위와 기업의 가치가 세상을 바꾸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된다고 강조해왔는데요. 올해 10월에도 베니오프 어린이 병원에 1억 3,900만 달러를 기부하는 등 꾸준히 사회 공헌에 이바지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에는 그들의 신조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을까요? 경영 철학이 잘 반영된 복지 제도로는 ‘유급 봉사 활동 시간’과 ‘기부금 매칭’이 있어요.
‘유급 봉사 활동 시간(Paid Volunteer Time Off, VTO)’은 직원들에게 연간 7일의 유급 휴가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 시간을 지역 사회를 위한 봉사 활동에 사용하도록 적극 장려하는 제도예요. ‘기부금 매칭 (Matching Donation)’은 직원이 비영리 단체에 돈을 기부하면, 회사에서 그와 동일한 금액을 추가로 기부하는 제도인데요.
이렇듯 세일즈포스의 복지 제도는 베니오프 회장이 얼마나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잘 보여줘요. 이 복지들은 직원들의 근무 활동이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조직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장치로 작동하고 있어요.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을 주는 비상장 기업? 화웨이 ‘직원 가상 주식 제도’


사진 출처: 화웨이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는 상하이나 선전, 홍콩 등 어떤 증권거래소에도 상장하지 않은 비상장 기업이에요. 하지만 직원들에게 ‘가상 주식(Virtual share)’을 판매하는 매우 독특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죠.
직원들은 회사가 인정하는 업무 성과를 달성하면 가상 주식을 획득할 수 있고, 근속 연수가 5년이 지나면 지난 5년 간 받은 연봉의 최대 25% 금액에 해당하는 가상 주식을 구매할 수 있어요.
물론 실제 증권거래소에서 거래하는 주식이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 대한 대표권, 소유권, 표결권은 없으며 직원들간의 내부 거래도 불가능해요. 하지만 이 가상 주식은 매년 회사의 성장률에 맞춰 가치가 오르며, 직원들은 자신이 보유한 수량만큼 정기적인 '배당금(인센티브)'을 받게 된답니다. 퇴사 시에는 소유한 지분을 모두 회사에 되팔아야 하고요.
이 제도는 미국의 계속된 제재로 인한 인재 유출을 막고,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전략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요. 주식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의 운명을 함께하는 '주주'로 만들면서, 극도의 헌신과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죠. 또한 경쟁사로의 이직을 막고, 인재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답니다.
휴가를 내 마음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무제한 휴가제’

사진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

사진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2023년 1월, 세계적인 IT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내 정규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무제한 유급 휴가(Unlimited PTO)’라는 파격적인 복지 제도를 도입해 큰 화제를 모았어요. 말 그대로 상사의 별도 결재 없이, 원하는 만큼 자율적으로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제도인데요.
무제한 유급 휴가는 해외에서는 이미 많은 기업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 제도예요.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도 이 제도를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꾸준히 유지해 오고 있어요!
임직원을 향한 신뢰와 자율성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제도인 만큼, 과하게 남용되거나 조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실제로 남용 사례는 드물며, 오히려 직원들의 책임감과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제도를 통해 유연성을 중요시하는 젊은 인재를 끌어들이고 기존 핵심 인력의 이탈을 막는 강력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답니다.
기업의 복지 제도들은 고생한 직원들에게 하사하는 ‘시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이번 사례를 통해 전 세계 굴지의 기업들은 복지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로 바라보면서, 기업과 직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복지를 설계하고 운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직원이 조직에 가장 빠르게 몰입하게 만들 수 있는 수단, 복지! 우리 기업은 어떤 제도를 통해 직원의 열정과 몰입을 최대치로 끌어낼 수 있을까요?
우리 기업에 꼭 필요한 복지 설계, 위펀의 100여 가지 서비스로 그 시작을 함께 해보세요!

Editor: 위펀 브랜드마케팅 하수빈, 김민정
이런 콘텐츠는 어떠세요?
HR 인사이트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
긍정적인 조직 경험을 위한 조건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FCy2AuwqGD8txEBjU5pzzQpTfM.jpg?width=6720&height=3780)
HR 인사이트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
긍정적인 조직 경험을 위한 조건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FCy2AuwqGD8txEBjU5pzzQpTfM.jpg?width=6720&height=3780)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FCy2AuwqGD8txEBjU5pzzQpTfM.jpg?width=6720&height=3780)
HR 인사이트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
긍정적인 조직 경험을 위한 조건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FCy2AuwqGD8txEBjU5pzzQpTfM.jpg?width=6720&height=3780)
HR 인사이트
[HR인사이트] 티오더 HR 디렉터 김동현 님이 말하는 ‘AI 시대, 변화하는 기업 담당자의 역할과 인프라’ㅣ조직문화, 직원 경험
긍정적인 조직 경험을 위한 조건
위펀 이야기
위펀풀필먼트, 주류 중개업 면허 취득 완료… B2B 유통 인프라 확장 본격화
위펀의 B2B 시장 내 새로운 성장 영역을 개척하기 위한 전략적 확장 전략

위펀 이야기
위펀풀필먼트, 주류 중개업 면허 취득 완료… B2B 유통 인프라 확장 본격화
위펀의 B2B 시장 내 새로운 성장 영역을 개척하기 위한 전략적 확장 전략


HR 인사이트
위펀풀필먼트, 주류 중개업 면허 취득 완료… B2B 유통 인프라 확장 본격화
위펀의 B2B 시장 내 새로운 성장 영역을 개척하기 위한 전략적 확장 전략

HR 인사이트
위펀풀필먼트, 주류 중개업 면허 취득 완료… B2B 유통 인프라 확장 본격화
위펀의 B2B 시장 내 새로운 성장 영역을 개척하기 위한 전략적 확장 전략
고객사 이야기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
선물24로 시작하는 순조로운 온보딩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BWUsk8B1FUxQvTHn4gmOtL8fPk.jpg?width=5757&height=3843)
고객사 이야기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
선물24로 시작하는 순조로운 온보딩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BWUsk8B1FUxQvTHn4gmOtL8fPk.jpg?width=5757&height=3843)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BWUsk8B1FUxQvTHn4gmOtL8fPk.jpg?width=5757&height=3843)
HR 인사이트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
선물24로 시작하는 순조로운 온보딩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https://framerusercontent.com/images/TBWUsk8B1FUxQvTHn4gmOtL8fPk.jpg?width=5757&height=3843)
HR 인사이트
[선물24] 임직원 후기로 알아보는 선물24 입사 선물 활용법ㅣ신규 입사자 선물, 직원 선물
선물24로 시작하는 순조로운 온보딩
고객센터
1644-4624
서비스 신청 문의
sales@snack24h.com
위펀의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1644-4624
서비스 신청 문의
sales@snack24h.com
위펀의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1644-4624
서비스 신청 문의
sales@snack24h.com
위펀의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