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인사이트] 성공적인 성과 평가,  역량 평가 꿀팁 ㅣ예시로 보는 인사평가

HR 인사이트

HR 인사이트

HR 인사이트

[HR 인사이트] 성공적인 성과 평가, 역량 평가 꿀팁 ㅣ예시로 보는 인사평가

[HR 인사이트] 성공적인 성과 평가, 역량 평가 꿀팁 ㅣ예시로 보는 인사평가

[HR 인사이트] 성공적인 성과 평가, 역량 평가 꿀팁 ㅣ예시로 보는 인사평가


12월 인사평가의 계절이 다가왔어요. 인사평가 결과를 두고 직장 내/외부로 많은 이야기가 오고 가는 만큼, 평가 공정성에 관한 이야기는 항상 화제의 중심이죠.

실제로 인사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회사에 계속 남아있을지 떠날지 결정하는 직원들도 상당하다고 하는데요. 회사의 근속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담당자분들도 다가오는 인사평가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래서 준비한 이번 콘텐츠! 올해 인사평가를 문제없이 마무리할 수 있도록 A부터 Z까지 이해하기 쉽게 알려 드릴게요!

📌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인사평가,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 평가 전에 해야 할 일

    • 평가 중에 해야 할 일

      • 성과 평가 vs 역량 평가

      • 종합 평가하는 법


인사평가,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인사평가는 평가 전부터 후까지 전 과정에서 놓쳐선 안 되는 중요한 것들이 있어요. 각 과정의 핵심 요소들이 확실하게 정해져야 다음 단계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죠. 과정별로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지 같이 알아볼까요?


✅ 평가 전, 해야 할 일 : 우리 조직에 맞는 성과 관리 제도 채택하기

유명한 기업이 특정 평가 제도를 채택했다고 해서 무조건 그 제도를 따라갈 필요는 없어요.

우리 기업의 문화, 산업, 업무 구조 등을 고려해 잘 맞는 성과 관리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이를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와 일관된 평가 기준 설정이 선행되어야 해요. 일반적으로 기업의 목표를 설정할 때는 OKR과 KPI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24레터 1월호에서도 간략하게 소개해 드렸으니 잠깐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직무나 직책에 따라 평가 요소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업무 성과, 업무 태도, 협업 능력,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포함하는데요. 조직과 직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장 핵심이 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맞게 가중치를 설정해야 해요.

더 자세한 이야기는 평가 중 해야 할 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평가 중, 해야 할 일

Step 1. 평가 제도 이해하기

팀 구성원들마다 각자 장단점이 있어요. 그들의 장단점이 업무 중에 어떻게 쓰이고, 어떻게 성과로 이어지는지도 가지각색이죠. 따라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자의 업무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대표적인 평가 방식으로 성과 평가와 역량 평가를 꼽을 수 있어요. 각각 정량 평가와 정성 평가로 대입해보면 이해가 쉬운데요. 여기서 성과 평가는 결과 중심의 평가로, 직원 혹은 팀이 올해 설정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고려하는 지표예요. 정량적인 데이터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며, 대표적인 지표로는 ‘홈페이지 방문 증대, 인입 증가, 매출 증대’ 등 아웃풋과 ‘리드 시간 단축, 속도 개선, 업무 리소스 효율화’ 등 인풋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어요.

물론 정량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평가도 같이 진행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므로 역량 평가도 꼭 포함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역량 평가는 과정 중심의 평가로, 특정 프로젝트를 진행 중 역량 발휘 여부 및 기여도 판단을 기준으로 삼아요.

여기서 정성적 평가를 팀장의 사사로운 감정이나 시선에서 진행하는 것은 당연히 문제의 여지가 있을 수 있기에 일관된 평가 기준을 확립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Step 2. 종합 평가 진행하기


1️⃣ 팀별 성과 평가 기준과 가중치를 설정해요.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콘텐츠 반응도 20%

    • 콘텐츠 발행량 10%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매출/앱 설치 증대 10%

*세부 기준까지 구체적으로 분류가 어렵다면 대분류까지만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2️⃣ 평가 항목별로 평가기준에 따른 등급을 매겨요.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평가결과 S

    • 콘텐츠 반응도 20% → 평가결과 A

    • 콘텐츠 발행량 10% → 평가결과 C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평가결과 B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평가결과 C

    • 매출/앱 설치 증대 10% → 평가결과 C


3️⃣ 등급에 따른 환산점수를 적용하여 점수를 구체화합니다!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50점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30점

    • 콘텐츠 반응도 20% → 16점

    • 콘텐츠 발행량 10% → 4점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18점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6점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8점

    • 매출/앱 설치 증대 10% → 4점

이로써 마케터 K양의 성과 평가 점수는 68점을 받게 되었네요😉


그렇다면 역량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까요? 일단 역량 평가는 직무 역량뿐만 아니라 회사 방향성에 따른 공통(핵심) 역량과 직책별 요구 역량이 함께 포함되어야 해요.

1️⃣ 팀별 역량 평가 기준과 이를 판단할 수 있는 문항을 만들어요.

🤖 위펀 마케팅 팀의 역랑 평가 기준

  •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 소속 부서 및 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졌는가?

    • 맡은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역할 수행이 되었는가? 마감기한은 잘 지켜졌는가?

  • 직무 역량 : 주도성, 분석적 사고

    • 데이터에 따른 인사이트 도출 및 적용이 이루어졌는가?

    •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이 이루어졌는가?

  • 직책에 따른 역량

    • 팀원

      • 팀장의 업무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행했는가?

      • 팀원과의 협업 및 소통에 문제가 없는가?

    • 팀장

      • 팀원들의 역량 강화 및 사기 진작에 기여했는가?

      • 팀의 소속감 강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2️⃣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직책별 가중치를 다르게 책정하고 등급을 매겨요.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위펀 마케팅 팀원의 역랑 평가 기준

  •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40%

    • 소속 부서 및 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졌는가? 20% → A

    • 맡은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역할 수행이 되었는가? 마감기한은 잘 지켜졌는가? 20% → B

  • 직무 역량 : 주도성, 분석적 사고 40%

    • 데이터에 따른 인사이트 도출 및 적용이 이루어졌는가? 20% → S

    •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이 이루어졌는가? 20% → A

  • 직책에 따른 역량 20%

    • 팀원

      • 팀장의 업무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행했는가? 10% → A

      • 팀원과의 협업 및 소통에 문제가 없는가? 10% → A


3️⃣ 성과 평가와 동일하게 등급에 따른 환산 점수를 적용하여 점수를 구체화
해요!

80*20% + 60*20% + 100*20% + 80*20% + 80*10% + 80*10% = 80점
이로서 마케터 K양의 역랑 평가 점수는 80점이 되었네요😉


✳️ 성과 평가와 역량 평가의 가중치를 고려해 최종 점수를 계산해요.
*예시) 성과 평가 60% + 역량 평가 40%

68점*60% + 80점*40% = 72.8점

✳️ 최종 점수를 등급으로 환산하면 종합 평가 점수가 나온답니다!
*예시) S = 100~90, A = 89~70, B = 69~50, C = 49~30, D = 29~0 (환산 구간은 기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마케터 K양의 종합 평가 점수는 72.8점으로, 최종 A등급을 받았네요!



지금까지 인사 평가 전과 중에 꼭 해야 하는 일들과 구체적인 평가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연말마다 찾아오는 인사팀의 가장 큰 과제 인사평가, 이번 게시글을 통해 올해 인사 평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위펀도 응원할게요!

다음 콘텐츠에서는 평가 후에 해야 할 일과 평가 트렌드에 대해 다뤄볼 예정이니 다음 편도 큰 관심 부탁드려요😉

기업 담당자들을 위한 위펀의 다양한 복지 및 HR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12월 인사평가의 계절이 다가왔어요. 인사평가 결과를 두고 직장 내/외부로 많은 이야기가 오고 가는 만큼, 평가 공정성에 관한 이야기는 항상 화제의 중심이죠.

실제로 인사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회사에 계속 남아있을지 떠날지 결정하는 직원들도 상당하다고 하는데요. 회사의 근속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담당자분들도 다가오는 인사평가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래서 준비한 이번 콘텐츠! 올해 인사평가를 문제없이 마무리할 수 있도록 A부터 Z까지 이해하기 쉽게 알려 드릴게요!

📌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인사평가,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 평가 전에 해야 할 일

    • 평가 중에 해야 할 일

      • 성과 평가 vs 역량 평가

      • 종합 평가하는 법


인사평가,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인사평가는 평가 전부터 후까지 전 과정에서 놓쳐선 안 되는 중요한 것들이 있어요. 각 과정의 핵심 요소들이 확실하게 정해져야 다음 단계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죠. 과정별로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지 같이 알아볼까요?


✅ 평가 전, 해야 할 일 : 우리 조직에 맞는 성과 관리 제도 채택하기

유명한 기업이 특정 평가 제도를 채택했다고 해서 무조건 그 제도를 따라갈 필요는 없어요.

우리 기업의 문화, 산업, 업무 구조 등을 고려해 잘 맞는 성과 관리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이를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와 일관된 평가 기준 설정이 선행되어야 해요. 일반적으로 기업의 목표를 설정할 때는 OKR과 KPI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24레터 1월호에서도 간략하게 소개해 드렸으니 잠깐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직무나 직책에 따라 평가 요소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업무 성과, 업무 태도, 협업 능력,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포함하는데요. 조직과 직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장 핵심이 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맞게 가중치를 설정해야 해요.

더 자세한 이야기는 평가 중 해야 할 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평가 중, 해야 할 일

Step 1. 평가 제도 이해하기

팀 구성원들마다 각자 장단점이 있어요. 그들의 장단점이 업무 중에 어떻게 쓰이고, 어떻게 성과로 이어지는지도 가지각색이죠. 따라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자의 업무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대표적인 평가 방식으로 성과 평가와 역량 평가를 꼽을 수 있어요. 각각 정량 평가와 정성 평가로 대입해보면 이해가 쉬운데요. 여기서 성과 평가는 결과 중심의 평가로, 직원 혹은 팀이 올해 설정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고려하는 지표예요. 정량적인 데이터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며, 대표적인 지표로는 ‘홈페이지 방문 증대, 인입 증가, 매출 증대’ 등 아웃풋과 ‘리드 시간 단축, 속도 개선, 업무 리소스 효율화’ 등 인풋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어요.

물론 정량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평가도 같이 진행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므로 역량 평가도 꼭 포함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역량 평가는 과정 중심의 평가로, 특정 프로젝트를 진행 중 역량 발휘 여부 및 기여도 판단을 기준으로 삼아요.

여기서 정성적 평가를 팀장의 사사로운 감정이나 시선에서 진행하는 것은 당연히 문제의 여지가 있을 수 있기에 일관된 평가 기준을 확립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Step 2. 종합 평가 진행하기


1️⃣ 팀별 성과 평가 기준과 가중치를 설정해요.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콘텐츠 반응도 20%

    • 콘텐츠 발행량 10%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매출/앱 설치 증대 10%

*세부 기준까지 구체적으로 분류가 어렵다면 대분류까지만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2️⃣ 평가 항목별로 평가기준에 따른 등급을 매겨요.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평가결과 S

    • 콘텐츠 반응도 20% → 평가결과 A

    • 콘텐츠 발행량 10% → 평가결과 C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평가결과 B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평가결과 C

    • 매출/앱 설치 증대 10% → 평가결과 C


3️⃣ 등급에 따른 환산점수를 적용하여 점수를 구체화합니다!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50점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30점

    • 콘텐츠 반응도 20% → 16점

    • 콘텐츠 발행량 10% → 4점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18점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6점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8점

    • 매출/앱 설치 증대 10% → 4점

이로써 마케터 K양의 성과 평가 점수는 68점을 받게 되었네요😉


그렇다면 역량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까요? 일단 역량 평가는 직무 역량뿐만 아니라 회사 방향성에 따른 공통(핵심) 역량과 직책별 요구 역량이 함께 포함되어야 해요.

1️⃣ 팀별 역량 평가 기준과 이를 판단할 수 있는 문항을 만들어요.

🤖 위펀 마케팅 팀의 역랑 평가 기준

  •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 소속 부서 및 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졌는가?

    • 맡은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역할 수행이 되었는가? 마감기한은 잘 지켜졌는가?

  • 직무 역량 : 주도성, 분석적 사고

    • 데이터에 따른 인사이트 도출 및 적용이 이루어졌는가?

    •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이 이루어졌는가?

  • 직책에 따른 역량

    • 팀원

      • 팀장의 업무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행했는가?

      • 팀원과의 협업 및 소통에 문제가 없는가?

    • 팀장

      • 팀원들의 역량 강화 및 사기 진작에 기여했는가?

      • 팀의 소속감 강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2️⃣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직책별 가중치를 다르게 책정하고 등급을 매겨요.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위펀 마케팅 팀원의 역랑 평가 기준

  •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40%

    • 소속 부서 및 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졌는가? 20% → A

    • 맡은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역할 수행이 되었는가? 마감기한은 잘 지켜졌는가? 20% → B

  • 직무 역량 : 주도성, 분석적 사고 40%

    • 데이터에 따른 인사이트 도출 및 적용이 이루어졌는가? 20% → S

    •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이 이루어졌는가? 20% → A

  • 직책에 따른 역량 20%

    • 팀원

      • 팀장의 업무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행했는가? 10% → A

      • 팀원과의 협업 및 소통에 문제가 없는가? 10% → A


3️⃣ 성과 평가와 동일하게 등급에 따른 환산 점수를 적용하여 점수를 구체화
해요!

80*20% + 60*20% + 100*20% + 80*20% + 80*10% + 80*10% = 80점
이로서 마케터 K양의 역랑 평가 점수는 80점이 되었네요😉


✳️ 성과 평가와 역량 평가의 가중치를 고려해 최종 점수를 계산해요.
*예시) 성과 평가 60% + 역량 평가 40%

68점*60% + 80점*40% = 72.8점

✳️ 최종 점수를 등급으로 환산하면 종합 평가 점수가 나온답니다!
*예시) S = 100~90, A = 89~70, B = 69~50, C = 49~30, D = 29~0 (환산 구간은 기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마케터 K양의 종합 평가 점수는 72.8점으로, 최종 A등급을 받았네요!



지금까지 인사 평가 전과 중에 꼭 해야 하는 일들과 구체적인 평가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연말마다 찾아오는 인사팀의 가장 큰 과제 인사평가, 이번 게시글을 통해 올해 인사 평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위펀도 응원할게요!

다음 콘텐츠에서는 평가 후에 해야 할 일과 평가 트렌드에 대해 다뤄볼 예정이니 다음 편도 큰 관심 부탁드려요😉

기업 담당자들을 위한 위펀의 다양한 복지 및 HR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12월 인사평가의 계절이 다가왔어요. 인사평가 결과를 두고 직장 내/외부로 많은 이야기가 오고 가는 만큼, 평가 공정성에 관한 이야기는 항상 화제의 중심이죠.

실제로 인사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회사에 계속 남아있을지 떠날지 결정하는 직원들도 상당하다고 하는데요. 회사의 근속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담당자분들도 다가오는 인사평가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래서 준비한 이번 콘텐츠! 올해 인사평가를 문제없이 마무리할 수 있도록 A부터 Z까지 이해하기 쉽게 알려 드릴게요!

📌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인사평가,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 평가 전에 해야 할 일

    • 평가 중에 해야 할 일

      • 성과 평가 vs 역량 평가

      • 종합 평가하는 법


인사평가,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인사평가는 평가 전부터 후까지 전 과정에서 놓쳐선 안 되는 중요한 것들이 있어요. 각 과정의 핵심 요소들이 확실하게 정해져야 다음 단계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죠. 과정별로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지 같이 알아볼까요?


✅ 평가 전, 해야 할 일 : 우리 조직에 맞는 성과 관리 제도 채택하기

유명한 기업이 특정 평가 제도를 채택했다고 해서 무조건 그 제도를 따라갈 필요는 없어요.

우리 기업의 문화, 산업, 업무 구조 등을 고려해 잘 맞는 성과 관리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이를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와 일관된 평가 기준 설정이 선행되어야 해요. 일반적으로 기업의 목표를 설정할 때는 OKR과 KPI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24레터 1월호에서도 간략하게 소개해 드렸으니 잠깐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직무나 직책에 따라 평가 요소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업무 성과, 업무 태도, 협업 능력,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포함하는데요. 조직과 직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장 핵심이 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맞게 가중치를 설정해야 해요.

더 자세한 이야기는 평가 중 해야 할 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평가 중, 해야 할 일

Step 1. 평가 제도 이해하기

팀 구성원들마다 각자 장단점이 있어요. 그들의 장단점이 업무 중에 어떻게 쓰이고, 어떻게 성과로 이어지는지도 가지각색이죠. 따라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자의 업무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대표적인 평가 방식으로 성과 평가와 역량 평가를 꼽을 수 있어요. 각각 정량 평가와 정성 평가로 대입해보면 이해가 쉬운데요. 여기서 성과 평가는 결과 중심의 평가로, 직원 혹은 팀이 올해 설정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고려하는 지표예요. 정량적인 데이터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며, 대표적인 지표로는 ‘홈페이지 방문 증대, 인입 증가, 매출 증대’ 등 아웃풋과 ‘리드 시간 단축, 속도 개선, 업무 리소스 효율화’ 등 인풋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어요.

물론 정량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평가도 같이 진행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므로 역량 평가도 꼭 포함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역량 평가는 과정 중심의 평가로, 특정 프로젝트를 진행 중 역량 발휘 여부 및 기여도 판단을 기준으로 삼아요.

여기서 정성적 평가를 팀장의 사사로운 감정이나 시선에서 진행하는 것은 당연히 문제의 여지가 있을 수 있기에 일관된 평가 기준을 확립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Step 2. 종합 평가 진행하기


1️⃣ 팀별 성과 평가 기준과 가중치를 설정해요.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콘텐츠 반응도 20%

    • 콘텐츠 발행량 10%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매출/앱 설치 증대 10%

*세부 기준까지 구체적으로 분류가 어렵다면 대분류까지만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2️⃣ 평가 항목별로 평가기준에 따른 등급을 매겨요.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평가결과 S

    • 콘텐츠 반응도 20% → 평가결과 A

    • 콘텐츠 발행량 10% → 평가결과 C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평가결과 B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평가결과 C

    • 매출/앱 설치 증대 10% → 평가결과 C


3️⃣ 등급에 따른 환산점수를 적용하여 점수를 구체화합니다!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마케팅팀의 성과 평가 기준

  • 마케팅 액션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증대 60% → 50점

    • 채널별 구독자 증가 30% → 30점

    • 콘텐츠 반응도 20% → 16점

    • 콘텐츠 발행량 10% → 4점

  • 마케팅 액션에 따른 전환 증대 40% → 18점

    • 홈페이지 방문 증대 10% → 6점

    •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문의 증대 20% → 8점

    • 매출/앱 설치 증대 10% → 4점

이로써 마케터 K양의 성과 평가 점수는 68점을 받게 되었네요😉


그렇다면 역량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까요? 일단 역량 평가는 직무 역량뿐만 아니라 회사 방향성에 따른 공통(핵심) 역량과 직책별 요구 역량이 함께 포함되어야 해요.

1️⃣ 팀별 역량 평가 기준과 이를 판단할 수 있는 문항을 만들어요.

🤖 위펀 마케팅 팀의 역랑 평가 기준

  •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 소속 부서 및 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졌는가?

    • 맡은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역할 수행이 되었는가? 마감기한은 잘 지켜졌는가?

  • 직무 역량 : 주도성, 분석적 사고

    • 데이터에 따른 인사이트 도출 및 적용이 이루어졌는가?

    •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이 이루어졌는가?

  • 직책에 따른 역량

    • 팀원

      • 팀장의 업무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행했는가?

      • 팀원과의 협업 및 소통에 문제가 없는가?

    • 팀장

      • 팀원들의 역량 강화 및 사기 진작에 기여했는가?

      • 팀의 소속감 강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2️⃣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직책별 가중치를 다르게 책정하고 등급을 매겨요.
*예시) S=100, A=80, B=60, C=40, D=20

🤖 위펀 마케팅 팀원의 역랑 평가 기준

  •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40%

    • 소속 부서 및 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졌는가? 20% → A

    • 맡은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역할 수행이 되었는가? 마감기한은 잘 지켜졌는가? 20% → B

  • 직무 역량 : 주도성, 분석적 사고 40%

    • 데이터에 따른 인사이트 도출 및 적용이 이루어졌는가? 20% → S

    •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이 이루어졌는가? 20% → A

  • 직책에 따른 역량 20%

    • 팀원

      • 팀장의 업무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행했는가? 10% → A

      • 팀원과의 협업 및 소통에 문제가 없는가? 10% → A


3️⃣ 성과 평가와 동일하게 등급에 따른 환산 점수를 적용하여 점수를 구체화
해요!

80*20% + 60*20% + 100*20% + 80*20% + 80*10% + 80*10% = 80점
이로서 마케터 K양의 역랑 평가 점수는 80점이 되었네요😉


✳️ 성과 평가와 역량 평가의 가중치를 고려해 최종 점수를 계산해요.
*예시) 성과 평가 60% + 역량 평가 40%

68점*60% + 80점*40% = 72.8점

✳️ 최종 점수를 등급으로 환산하면 종합 평가 점수가 나온답니다!
*예시) S = 100~90, A = 89~70, B = 69~50, C = 49~30, D = 29~0 (환산 구간은 기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마케터 K양의 종합 평가 점수는 72.8점으로, 최종 A등급을 받았네요!



지금까지 인사 평가 전과 중에 꼭 해야 하는 일들과 구체적인 평가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연말마다 찾아오는 인사팀의 가장 큰 과제 인사평가, 이번 게시글을 통해 올해 인사 평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위펀도 응원할게요!

다음 콘텐츠에서는 평가 후에 해야 할 일과 평가 트렌드에 대해 다뤄볼 예정이니 다음 편도 큰 관심 부탁드려요😉

기업 담당자들을 위한 위펀의 다양한 복지 및 HR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